이것저것 관심가는 대로.zip

by. someone else/creator market

[CTEE] 크티 플레이스 이용 후기 / 장단점 정리

썸원 2023. 6. 1. 10:00

본 게시글은 크티로부터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썸원의 크티 플레이스

💻 📸 🐩 https://someoneelse.tistory.com/

ctee.kr

어느덧 크티 플레이스를 개설한 지도 반년이 지났다. 솔직히 얼마나 됐는지도 몰랐는데 크티 측에서 반년 동안 콘텐츠가 꾸준히 다운로드가 됐었다고 알려주시면서 서비스 이용 후기를 작성해 보면 어떨지 먼저 제안해 주셔서 알게 됐다. 1년도 더 된 것 같은데 반 년밖에 안 된 거에 놀라고, 인플루언서도 아닌데 먼저 후기 제안을 주셔서 두 번 놀라며 덥석 수락했다. 언제 한 번 크티 서비스 이용 후기를 올려야지 막연히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 이 기회에 그동안 느낀 점들을 정리해 보는 것도 좋겠다 싶었다. 

 

크티(CTEE) 가입 이유

간편한 가입 및 콘텐츠 다운로드 과정

크티 서비스는 팔로우하던 크리에이터가 제공하는 무료 콘텐츠를 다운로드하면서 처음 알게 됐다. 콘텐츠를 받기 위해 가입을 해야 하는 점이 번거롭긴 했지만 간편 가입 기능이 있어서 빠르게 가입할 수 있었고 또 해당 콘텐츠가 완성형 콘텐츠라 다운 후 바로 사용 가능해서 편했다. 

기왕 가입까지 했으니, 다운로드에서 그칠게 아니라 업로드도 해보자는 생각에 그날 곧바로 내 플레이스도 만들어서 콘텐츠를 올렸었다. 블로그에서 무료로 제공 중인 콘텐츠도 있으니 같은 콘텐츠를 크티에도 올려서 다운로드 수를 직접적으로 살펴보면 좋을 것 같았기 때문. 티스토리에 올린 콘텐츠는 검색 유입을 분석할 수는 있지만 실제 다운로드 수가 얼마나 되는지는 파악이 안 돼서 아쉽던 차에 크티는 서비스 가입/이용 비용도 없고, 크리에이터 개인정보 및 각종 서류 제출과 같은 과정도 필요 없어서 손해 볼 건 없겠다는 생각이었다(다만 업로드가 귀찮을 뿐). 심지어 콘텐츠 검수 과정도 없는 데다 완성형 콘텐츠의 경우 무료 콘텐츠도 업로드가 가능하고, 한 번 올려두면 사용자가 원할 때 다운로드하면 되기 때문에 블로그와 큰 차이도 없었다. 

 

깔끔한 페이지 + 간편한 콘텐츠 업로드 과정

다운로더였을 때도 군더더기 없는 페이지가 마음에 들었지만, 크리에이터로서 플레이스를 이용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깔끔한 페이지 구성이 마음에 들었다. 처음으로 업로드할 때에도 업로드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한참 헤매거나 하지 않고 큰 어려움 없이 바로 콘텐츠를 올릴 수 있었다. 그래도 처음이라 낯설다면 크티 가이드(아래 링크)를 정독해 보는 걸 추천한다. 

 

크티 크리에이터를 위한 가이드

이 세상 모든 크리에이터의 첫 번째 홈페이지, 크티 플레이스를 만들어 보세요!

help.ctee.kr

 

후원금

처음 시작은 블로그에 공유하던 무료 콘텐츠들이었기 때문에 후원 기능도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후원을 통해 받은 금액은 크티 수수료 없이 카드 수수료만 제한다.

사실, 후원 기능이 좋긴 하지만 내가 실제로 받을 일은 없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놀랍게도 후원을 해주시는 분들이 계셨다. 어쨌든 있으면 좋은 기능.

크티 서비스별 정산 기준 및 수수료 분류표
클릭시 해당 페이지로 이동

수수료 비율이 나온 김에 덧붙이자면, 내 경우 무료 콘텐츠를 올리는 게 시작이었어서 콘텐츠 판매 수수료에 대한 부분은 사실 깊게 생각해보지 않았다.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사이트(검로드, 엣시 등)를 이용 중인 것도 아니어서 정확한 비교는 어렵지만, 여타 마켓에 비해 비율이 낮은 편이라는 크리에이터들의 리뷰를 많이 봤다. 이모티콘 플랫폼 수수료는 대강 알고 있는데 이모티콘 시장 수수료 비율 보다가 크티 수수료 보면 엄청 낮게 느껴진다(...)

보다 자세한 비교글을 확인하고 싶다면 일단 크티 사이트 내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글을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구글 드라이브 /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 크티 비교
 

다들 크티로 넘어오는 이유를 밝혀볼게요😎 | 크티

지금 크티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소개합니다

ctee.kr

  • 검로드 / 크티 비교
 

해외 판매? 크티에서 해봤는데요😎 | 크티

지금 크티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소개합니다

ctee.kr

 

그 외 크티의 장점

가입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 점들 외에, 사용해 보면서 느낀 장점들을 따로 정리해 봤다.

 

최소 정산 기준 없음

판매를 통한 수익을 기대하지만, 그 수익이 어느 정도 일지는 모르는 초보자에겐 이 부분이 정말 중요할 텐데, 크티는 최소 정산 기준 없이 무조건 정산이 이뤄진다. 특히나 판매량이 높지 않은 크리에이터라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매 달 1일~15일 사이에 판매가 완료된 건은 다음 달 1일에 정산되고, 16일~31일 사이에 판매가 완료된 건은 다음 달 16일에 정산된다. 판매나 후원이 한 건이라도 있다면 다음 달에 최소 한 번은 정산을 받는다.

 

일정기간 할인

크티 상품 할인 금액 및 기간 설정

유료 콘텐츠를 일정 기간 동안만 무료로(기존 판매 금액 전액 할인) 또는 일부 할인하여 판매할 수 있다. 판매 초기에만 할인하고 이후에는 정가로 판매하고 싶은 경우, 또는 이벤트 성으로 특정 기간에만 할인하고 싶은 경우 등에 유용하다.

 

메일 발송 서비스

크티 포스트 및 메일링 서비스

내 소식을 받아보는 팔로워(소식받기)를 대상으로 발행한 포스트(내 플레이스에 게시한 글) 중 하나를 메일로 공유할 수 있다. 즉, 내 플레이스에 대해 '소식받기'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대량 메일 발송이 가능하다. 무분별한 포스트 발송을 막기 위해 월 3회로 횟수를 제한하고 있지만 필요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기능이다. 포스트는 팔로워가 많을 경우 메일 서비스 외에도 콘텐츠 관련 소통 창구로도 좋아 보인다.

 

해외 서비스

크티 영어 대응 서비스
클릭 시 해당 페이지로 이동

일단 콘텐츠만 올려두면 해외 판매까지 할 수 있다. 해외 내에선 인증과정을 없애고 영어 대응에 결제도 페이팔로도 가능하다고 하니 이용자 입장에서도 편리해 보인다. 여태껏 유료 콘텐츠가 해외 판매된 적은 없어서 실제 해외 매출 정산을 받아본 적은 없지만, 국내매출과 같은 방식으로 해외매출임을 알 수 있게 정산해 주는 듯하다.

 

카카오톡 알림 서비스

크티 알림톡 서비스

매일 오후 7시에 발송 시간 직전까지 판매된 주문 건수 및 누적 주문액을 알림톡으로 보내준다. 매일 판매량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는 재미가 있다.

크티 후원 알림톡

참고로 후원은 발생 즉시 알림톡이 온다.

 

고객센터

크티 고객센터
크티 뉴스레터 중 일부 발췌 / 클릭 시 사이트 내 관련 링크로 이동

크티에서 운영 중인 고객센터에서 콘텐츠 자체에 대한 문의 외 다른 서비스에 대한 문의를 모두 담당한다. 크리에이터는 콘텐츠 관련 문의만 답하면 되므로 편리하다.

 

아쉬운 점

유입 분석

블로그를 이미 운영 중이어서 유입 분석에 대한 부분이 크게 필요하지 않았지만, 이용하다 보니 크티 서비스 내에서 유입된 고객인지 아니면 블로그를 통해 유입된 고객인지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이 없는 점은 아쉬웠다.

다만 이용 기간 동안 크티 측에서 고객센터나 뉴스레터 등을 통해 불편사항을 항시 수집하고, 설문 등을 진행하기도 하는 등 사이트 개선에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고 느껴서 (실제로 이런 과정을 통해 할인, 포스트, 고객센터 대응 등의 기능이 업데이트 됨) 크리에이터들의 요구가 많아지면 유입 분석 기능도 도입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고 내심 기대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말입니다(!) 리뷰 작성 중 크티 측에서 실제로 많은 크리에이터분들이 관련 요청을 했고, 크티 내부적으로도 필요하다고 판단해서 자세한 시기를 공개하기는 어렵지만 추후 유입분석, 매출 추이 기간별 조회 등이 담긴 대시보드 기능이 추가될 예정이라고 한다!👏

 

세금 신고

크티는 통신판매 중개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자이기 때문에 개인 정산 또는 사업자 정산에 대해 세무 업무 대리가 불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정산 금액에 대한 종합소득세 신고를 직접(또는 세무사무소를 통해) 잊지 말고 챙겨야 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

 

크티 크리에이터 세금신고 안내 | 크티

지금 크티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소개합니다

ctee.kr

 

한눈에 보는 요약정리

장점 단점
가입 및 서비스 이용 비용 없음 유입 분석 기능 없음
(23.09 해당 기능 추가됨!)
콘텐츠 검수 과정 없음  
무료 콘텐츠 업로드 가능
(클라우드처럼 사용 가능)
 
고객센터 운영
(결제 및 다운로드 관련 오류 담당)
 
최소 정산 기준 없음 세금 신고 별도
후원 기능  
대량 메일 전송 기능  
해외 판매 대응 서비스
 
일정기간 할인 기능  
판매 알림톡 서비스  
광고 및 이벤트 기능 경우에 따라 계륵

 

광고나 이벤트 기능은 아예 건드려보지도 않아서 모르겠다. 언~젠가~ 알차게 쓸 날이~ 올 수도 있겠지.

 

 

 

요약정리 만화

크티 리뷰 만화1
크티 리뷰 만화2
크티 리뷰 만화3
크티 리뷰 만화4
크티 리뷰 만화5

 

관련 글

https://ctee.kr/magazine/230

 

크티 소개하는데 이렇게 귀여울 일?🙊 | 크티

지금 크티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소개합니다

ctee.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