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 영상 속도 조절 (배속 기능)
컴퓨터 상에서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영상을 볼 때 배속 기능이 없으면 답답한 경우가 많다. 요새는 웬만하면 사이트 상에서 배속을 제공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0.75배속, 1.25배속, 1.5배속, 1.75배속, 2배속 이렇게 5개의 선택지만 제공한다. 자체 제공 배속 기능은 대개 단축키가 적용되는 것도 아니어서 일일이 마우스로 클릭해 가며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그래서 각 브라우저마다 영상 속도 조절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해 놓고 쓰는 중인데, 처음 설치를 하려면 브라우저별로 각각 설치를 해야 되는 게 귀찮을 순 있지만 확장 프로그램들 중에선 제일 활용도가 높을 거라고 자신한다. 특히 내 경우에는 유튜브 프리미엄을 안 써서 광고가 나올 때마다 재빠르게 단축키로 배속 올려서 넘겨버린다.
영상 속도 조절 확장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
사파리
https://apps.apple.com/kr/app/accelerate-for-safari/id1459809092
Accelerate for Safari
Accelerate is a fully customizable extension for controlling video playback and speed in Safari. FEATURES • Change the playback speed of any HTML5 video in Safari • Personalize keyboard shortcuts for video controls, including play/pause, skipping, a
apps.apple.com
파이어폭스
https://addons.mozilla.org/en-US/firefox/addon/videospeed/
Video Speed Controller – Get this Extension for 🦊 Firefox (en-US)
Download Video Speed Controller for Firefox. Speed up, slow down, advance and rewind any HTML5 video with quick shortcuts.
addons.mozilla.org
크롬
Video Speed Controller
Speed up, slow down, advance and rewind HTML5 audio/video with shortcuts
chrome.google.com
위 프로그램들이 배속 프로그램들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기도 하고, 별다른 개인정보도 수집하지 않는 것으로 기억한다.
사용 방법
파이어폭스 비디오 스피드 컨트롤러
예시는 파이어 폭스에서 캡처한 유튜브 영상이다. 기본 설정은 살짝 투명하게 영상 왼쪽 위에 뜨게 되어있다.
조절기 위에 마우스 오버 할 경우 화면이 확장되면서 조절 가능한 버튼이 생긴다. 프로그램 단축키 기능도 제공하기 때문에 사실 마우스로는 잘 안 쓰게 된다.
단축키 설정은 확장 프로그램 아이콘 클릭 후 Setting에서 변경 가능하다. 영상을 볼 때 조절창이 거슬린다면 단축키로 끄고 보면 되는데, 크롬에서 넷플릭스를 볼 때 V단축키가 듣질 않아 변경해서 사용 중이다. 혹시나 단축키가 적용되지 않는다면 일반 알파벳이 아닌 숫자 등으로 변경해서 사용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단축키 변경 후에는 브라우저 재시작 또는 페이지 새로고침을 해야 적용된다.
캡처에는 누락됐지만 요즘은 속도 조절창의 투명도도 조절할 수 있고, 특정 사이트도 제외하는 등 다양한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te] 폰트 검색, 글씨체 찾기, 글꼴 이미지 검색 / 한글마을 / 산돌구름 (0) | 2023.03.20 |
---|---|
[website] 이미지 배경 제거(누끼) 사이트 'remove.bg' 살펴보기 (0) | 2023.03.19 |
[Android] 구형 안드로이드 폰, 태블릿에 최신 안드로이드 설치하기 / 리니지OS (커스텀 롬, 커스텀 펌웨어) (5) | 2022.11.06 |
[Android] 삼성 갤럭시 휴대폰 비밀번호, 패턴, PIN 분실/기억나지 않을 때 원격으로 잠금 해제하기 (1) | 2022.10.25 |
[구글] 개인 정보 보호 설정 검토하기 (0) | 2021.01.05 |